이사를 하거나 가구를 교체할 때 발생하는 **대형폐기물 (폐가구, 폐가전)** 처리는 항상 고민거리입니다. 현재 대형폐기물은 ① 지자체 온라인 신고, ② 동사무소 방문, ③ **모바일 앱(빼기)**을 통한 간편 신고의 3가지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. 특히 모바일 앱을 활용하면 수수료를 **모바일로 결제**하고 신고필증을 인쇄할 필요 없이 배출할 수 있어 가장 편리합니다.
1. 대형폐기물 직접 버리기 필수 3단계
대형폐기물을 규정에 맞게 버리기 위해서는 다음의 3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. 신고 없이 배출하면 **최대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**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- **① 품목 확인 및 분리:** 버릴 품목의 명칭과 크기를 확인하고, 분리수거가 가능한 부분(철재, 유리 등)은 최대한 분리합니다.
- **② 신고 및 결제:** 지자체(온라인/전화) 또는 **'빼기앱'**을 통해 수수료를 결제하고 배출 품목을 신고합니다.
- **③ 지정 장소 배출:** 신고 번호가 적힌 스티커를 부착하거나, 앱의 경우 **사진**을 찍어 지정된 장소에 배출합니다.
2. '빼기앱'을 활용한 간편 신고 (직접 버림)
**'빼기앱'**은 폐기물 처리 절차를 간소화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모바일 서비스입니다. 앱 내에서 품목을 검색하고 수수료를 결제하면, **모바일 신고필증**을 받아 즉시 배출할 수 있습니다.
빼기앱 '직접 버림' 서비스 이용 순서
1단계: 품목 촬영 및 수수료 확인
버릴 품목의 사진을 찍거나 목록에서 선택하여 지자체 기준의 수수료를 확인합니다.
2단계: 모바일 결제 및 신고 번호 발급
앱 내에서 카드로 수수료를 결제하면, 폐기물에 부착할 **신고 번호**가 즉시 발급됩니다.
3단계: 배출 및 인증 사진 등록
폐기물에 신고 번호를 **손으로 직접 적어** 부착하고, 배출 장소에서 인증 사진을 찍어 앱에 등록하면 끝납s니다. (인쇄 불필요)
📦 빼기앱의 '내려드림' (방문 수거) 서비스
가구를 직접 들고 내려놓기 어려운 경우, 빼기앱의 **'내려드림'** 서비스를 이용하면 전문 수거 업체가 집 안까지 방문하여 폐기물을 대신 수거해 줍니다. 이 경우, **기존 수수료 외에 추가적인 인건비**가 발생합니다.
3. 지자체 온라인 신고 및 수수료 비교
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각 시/군/구 **지자체 홈페이지**의 대형폐기물 신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입니다.
- **온라인 신고:** 지자체 홈페이지 접속 → 품목 및 배출일 입력 → 수수료 결제 → **신고필증을 인쇄**하여 폐기물에 부착 후 배출.
- **전화 신고:** 동사무소나 관할 구청에 전화로 문의 후, **직접 편의점에서 스티커를 구매**하여 부착 후 배출.
🔔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 활용 팁
냉장고, 세탁기 등 **대형 폐가전**의 경우, 한국환경공단에서 운영하는 **폐가전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**를 통해 수수료 없이 무료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. 1m 이상의 대형 가전은 무조건 무료 수거 대상입니다.